네트워크 R&S 3

[네트워크] MPLS 쉽게 이해하기 - 1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는 패킷에 레이블을 붙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킹 기술이며1990년대에 만들어진 오래된 기술입니다. 현대 이동통신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킹 기술이며 IP 주소가 아닌 레이블을 사용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기존 IP 라우팅과 달리 미리 정의된 경로를 따라 패킷을 라우팅하기 때문에 속도 향상 및 확보에 유리합니다. 하지만, 근래 네트워크 장비의 성능은 MPLS가 만들어진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했기때문에 순수 IP 네트워크를 쓰든 MPLS를 쓰든 장비 성능의 차이는 사실상 없습니다. 그럼 이걸 왜 알아야 하는 걸까요? 근래의 MPLS는 대부분 VPN 용도로 ..

네트워크 R&S 2025.06.08

VRRP란 무엇인가?

VRRP는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가상 라우터 이중화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 환경에서 라우터의 이중화(Redundancy)를 제공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기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역할을 하는 라우터를 거쳐야 합니다. 만약 이 기본 게이트웨이 라우터에 장애가 발생하면 해당 라우터를 사용하던 모든 장치들이 외부와 통신할 수 없게 되어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합니다.VRRP는 이러한 단일 실패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대의 라우터를 하나로 묶어 '..

네트워크 R&S 2025.05.07

라우팅과 스위칭의 차이

라우팅(Routing)과 스위칭(Switching)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두 가지 핵심적인 방식이지만, 동작하는 계층과 역할에 차이가 있습니다. 스위칭 (Switching)주요 역할: 동일한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내에서 데이터를 정확한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동작 계층: OSI 모델의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에서 동작합니다.주소 체계: 주로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MAC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부여된 고유한 물리적 주소입니다.동작 방식: 스위치는 학습 기능을 통해 어떤 MAC 주소를 가진 장치가 어떤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있습..

네트워크 R&S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