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

Flutter 노란줄(lints) 제거하기

플러터 코딩 중 코드에 노란줄이 생긴다고해서 오류가 발생한것은 아니며 그 노란줄은 lints에 의해서 생긴다. lints란 일종의 코딩컨벤션이다. 예를들어, 위와같이 Divider 위젯은 고정적으로 값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앞에 const 키워드를 붙이는것을 권고한다는 안내문구가 뜬다. 물론 lints의 권고사항들을 다 지켜가며 코딩한다면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지만 솔직히 여간 귀찮은일이 아니다. 이제 잠시 끄는방법을 알아보자 플러터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flutter에서 권장하는 lints가 포함되어있다. 주석처리하면 된다.

Flutter 2023.06.08

Flutter new Project File 주석 제거

플러터 프로젝트 파일을 새로 만들면 기본 예제 코드와 함께 많은 주석들이 붙어있는걸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MyApp 이하 코드들을 깔끔하게 지우고 새출발하겠지만 가끔은 주석만 제거하고 기본 코드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싶을 때도 있다. 그럴땐 아래처럼 Replace 단축키를 누르고 ( 보통은 Ctrl + R 인데 Vs Code 키맵 쓰는 사람들은 Ctrl + H ) 정규표현식이 켜진 상태에서 //.* 을 입력하고 Replace All을 누르면 주석 뒤에 어떤 문자가 있던지 다 지워준다. 깔끔해졌으면 코드 자동정렬 해주면 된다

Flutter 2023.05.29

Flutter 플러터 ListView Builder 높이 지정하기

ListView.builder( shrinkWrap: true, itemCount: snapshot.data.documents.length, itemBuilder: (context, index) => _buildListItems(context, snapshot.data.documents[index]), }, ), 간단하게 한줄이면 된다 shrinkWrap: true, 일반적으로 목록 보기(GridView, PageView 및 CustomScrollView)는 목록 항목이 더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상위 요소가 제공하는 모든 사용 가능한 공간을 채우려고 시도한다. shrinkWrap: true를 사용하면 ListView가 필요한 공간만 차지하도록 지정한다. 항목이 더 많아도 스크롤된다

카테고리 없음 2022.08.10

Flutter 플러터 firebase 연동 시 오류 해결법

플러터와 파이어베이스 연동 중 두번째 문구에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FirebaseCommandException: An error occured on the Firebase CLI when attempting to run a command. - 해결방법 프로젝트 루트폴더에 Firebase_cli 파일을 복사해서 붙여넣고 파일명을 Firebase로 수정한다 그 다음 차례대로 다시 진행한다 이 방법은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이다

Flutter 2022.08.02

Flutter(플러터) 팁 3 Const 와 Final 의 차이

공통점 : 한번 설정해두면 값을 변경 불가 차이점: const 는 컴파일 시점에서 상수 값 저장 가능, 런타임 시점에는 불가능 예를들어 런타임 시점에 Date.now() 로 값을 받아와서 상수로 저장하고 싶다고 가정했을 때, const 로 만들어놓은 변수에는 할당 불가능하다 그래서 const에는 리터럴(절대 안변하는? 값 뭐 예를들면 파이는 3.14 같은거 ) 값을 대부분 할당하게 됨 그렇다고 모든 인스터스화 과정에서 const를 사용할수 없는건 아니고 Color 클래스처럼 const로 선언된 클래스에는 const 사용 가능하긴 함

Flutter 2022.07.28